평균 스코어
최혜진이 2년 7개월 만에 다시 국내 여자 프로골프 대회 정상에 올랐습니다. 최혜진은 인천 베어즈베스트청라골프클럽에서 열린 KLPGA투어 롯데오픈 최종일 4라운드에서 버디 3개, 보기 4개를 묶어 1오버파 73타를 적어내며 합계 14언더파 274타로 우승했습니다. 최혜진의 KLPGA투어 통산 11번째 우승입니다. 2017년 아마추어 시절 2승을 포함해 2020년까지 4시즌 동안 10승을 기록했고,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연속 KLPGA투어 대상 타이틀을 차지한 최혜진은 2020년 11월 SK텔레콤·ADT캡스챔피언십 우승 이후 30개월 넘게 승수를 추가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미국 LPGA투어에 진출한 후에도 아직 우승 트로피를 품지 못한 최혜진은 2년 7개월 만에 국내 대회에서 정상에 오르며 우승 상금 1억 4천400만 원을 받았습니다. 특히 프로 데뷔 때부터 줄곧 후원을 받아온 메인 스폰서 롯데가 주최한 대회에서 우승해 기쁨이 더했습니다. 정윤지에 3타 차 선두로 최종 라운드에 나선 최혜진은 전반 9개 홀에서 버디 3개와 보기 2개를 적어내며 1타밖에 줄이지 못했지만, 정윤지와 이소영 등도 타수를 줄이지 못한 덕분에 3∼4타 차 선두를 굳게 지켰습니다. 후반 들어 최혜진의 샷이 흔들렸습니다. 10번 홀에서 1.5m 버디 퍼트를 놓친 최혜진은 11번 홀에서 2번째 샷이 그린을 벗어나면서 1타를 잃었습니다. 12번 홀 보기 위기를 3m 파퍼트 성공으로 막아낸 최혜진은 13번 홀(파4)에서 티샷을 왼쪽 러프로 보내 3번 만에 그린에 올라왔고, 여기서 보기를 범해 같은 홀에서 버디를 잡아낸 이소영에게 2타 차로 쫓겼습니다. 14번 홀(파5)에서 버디를 잡은 정윤지와 김지수까지 2타차 2위로 추격하면서 최혜진을 압박했습니다. 하지만 최혜진은 더는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14번 홀(파5)부터 18번 홀(파4)까지 5개 홀 연속 굳건히 파를 지켜 추격을 허용하지 않고 우승을 확정했습니다. 2라운드 때 코스 레코드 타이 기록(8언더파 64타)을 세우며 선두에 나섰던 정윤지는 오늘(4일) 버디 2개, 보기 2개로 이븐파 72타를 쳐 2타차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김효주는 3타를 줄이며 합계 11언더파로 이소미, 이소영, 김지수와 함께 공동 3위로 대회를 마쳤습니다. 허다빈이 9언더파 7위에 올랐고 박주영은 8언더파 공동 8위를 기록해 출산 휴가 복귀 후 최고 순위에 올랐습니다. 첫날 깜짝 선두에 올랐던 장타자 최예본도 임진희, 배소현 등과 공동 8위에 자리했습니다. 디펜딩 챔피언 성유진은 왼손 엄지손가락 부상에도 최종 라운드에서 4타를 줄여 합계 6언더파 공동 15위로 선전했습니다. / 기사 제공 - SBS 김영성 기자
최혜진이 한국여자프로골프, KLPGA 투어 롯데오픈 3라운드에서 3타 차 선두에 올라 투어 통산 11승 달성의 기회를 맞았습니다. 최혜진은 인천 베어즈베스트 청라 골프클럽에서 열린 대회 사흘째 경기에서 보기 없이 버디만 6개를 잡는 무결점 플레이를 펼쳤습니다. 중간 합계 15언더파 201타를 친 최혜진은 2위 정윤지를 3타 차로 따돌리고 단독 선두에 나섰습니다. 최혜진은 2017년 아마추어 때 거둔 2승을 포함해 KLPGA 투어에서 4년간 10승을 올렸고 2018년부터2020년까지 3년 연속 대상을 차지했습니다. 가장 최근의 우승은 2020년 11월 15일 SK텔레콤·ADT캡스 챔피언십 대회에서 기록해 이번 대회에서 약 2년 7개월 만에 투어 우승을 노립니다. 지난해부터 미국 LPGA 투어로 무대를 옮긴 최혜진은 지난주 E1채리티 오픈부터 KLPGA 투어 대회에 나서고 있습니다. E1채리티 오픈에서는 공동 7위를 기록했습니다. 최혜진은 "지난주에는 똑바로 치는 것에만 신경 써 아쉬움이 남았는데 이번 주에는 내 스타일대로 하려고 노력했다"면서 "샷을 과감하게 치려고 했던 것이 주효했고 퍼트도 더 날카로웠다"고 말했습니다. 최혜진은 "(현재) 선두여서 우승하고 싶은 마음이 크다"며 "내일이 첫 라운드라고 생각하고 내 플레이만 생각하며 차분하게 경기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어제(2일) 2라운드에서 8언더파 64타를 치며 코스 레코드 타이를 기록하고 선두에 올랐던 정윤지는 오늘 버디 5개, 보기 4개로 1타를 줄이는 데 그쳐 합계 12언더파 단독 2위로 내려왔습니다. 짝수 해에만 우승을 쌓은 통산 6승의 이소영은 3타를 줄여 중간 합계 11언더파 단독 3위입니다. 출산 휴가에서 돌아온 박주영은 10언더파로 김지수와 공동 4위에 자리했습니다. 최혜진과 함께 미국 LPGA 투어에서 활약하는 김효주는 3타를 줄여 8언더파 공동 6위로 올라섰습니다. 이소미와 이제영도 김효주와 함께 공동 6위입니다. 첫날 7언더파를 쳐 깜짝 선두에 나섰던 최예본은 4타를 잃고 중간합계 3언더파 공동 31위로 밀려났습니다. 디펜딩 챔피언 성유진도 3타를 잃고 합계 2언더파 공동 38위에 머물렀습니다. / 기사 제공 - SBS 김영성 기자
2022. 12. 09 - 12. 11
2022. 12. 16 - 12. 18
2023. 04. 06 - 04. 09
2023. 04. 13 - 04. 16
2023. 04. 21 - 04. 23
2023. 04. 27 - 04. 30
2023. 05. 05 - 05. 07
2023. 05. 12 - 05. 14
2023. 05. 17 - 05. 21
2023. 05. 26 - 05. 28
2023. 06. 01 - 06. 04
2023. 06. 09 - 06. 11
2023. 06. 15 - 06. 18
2023. 06. 23 - 06. 25
2023. 06. 30 - 07. 02
2023. 07. 07 - 07. 09
2023. 07. 13 - 07. 16
2023. 08. 03 - 08. 06
2023. 08. 10 - 08. 13
2023. 08. 17 - 08. 20
2023. 08. 24 - 08. 27
2023. 09. 01 - 09. 03
2023. 09. 07 - 09. 10
2023. 09. 15 - 09. 17
2023. 09. 21 - 09. 24
2023. 09. 29 - 10. 01
2023. 10. 05 - 10. 08
2023. 10. 12 - 10. 15
2023. 10. 19 - 10. 22
2023. 10. 26 - 10. 29
2023. 11. 02 - 11. 05
2023. 11. 10 - 11. 12
2022. 12. 09 - 12. 11
2022. 12. 16 - 12. 18
2023. 04. 06 - 04. 09
2023. 04. 13 - 04. 16
2023. 04. 21 - 04. 23
2023. 04. 27 - 04. 30
2023. 05. 05 - 05. 07
2023. 05. 12 - 05. 14
2023. 05. 17 - 05. 21
2023. 05. 26 - 05. 28
2023. 06. 01 - 06. 04
2023. 06. 09 - 06. 11
2023. 06. 15 - 06. 18
2023. 06. 23 - 06. 25
2023. 06. 30 - 07. 02
2023. 07. 07 - 07. 09
2023. 07. 13 - 07. 16
2023. 08. 03 - 08. 06
2023. 08. 10 - 08. 13
2023. 08. 17 - 08. 20
2023. 08. 24 - 08. 27
2023. 09. 01 - 09. 03
2023. 09. 07 - 09. 10
2023. 09. 15 - 09. 17
2023. 09. 21 - 09. 24
2023. 09. 29 - 10. 01
2023. 10. 05 - 10. 08
2023. 10. 12 - 10. 15
2023. 10. 19 - 10. 22
2023. 10. 26 - 10. 29
2023. 11. 02 - 11. 05
2023. 11. 10 - 11. 12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2022.11.13